HOME > 공지사항 > 감리 및 IT소식
“올해의 IT 10대 이슈 '그린IT, 스마트폰, 오픈플랫폼'“ 4705

“21세기 두 번째 10년을 시작하는 첫해인 2010년 IT분야 이슈로 그린 IT, 스마트폰, 오픈플랫폼, 클라우드컴퓨팅이 선정됐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0년 우리사회를 이끌어갈 IT 분야의 전략적 핵심이슈 10개를 선정해 27일 발표했다.
<NIA>가 선정한 '2010년 IT 분야 10대 전략 이슈'>란 보고서를 통해 2010년 IT 분야의 핵심 이슈는
▲녹색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원동력 '그린IT'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사회 대변혁 '스마트폰'
▲스마트폰OS시장의 새로운 시대정신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모든 IT 서비스의 대세 '클라우드컴퓨팅'
▲www시대에서 app시대로 '모바일웹어플리케이션'
▲新 경제활성화 방안 'IT와 전통산업간 융합서비스'
▲지식정보사회구현을 위한 필수요소 '정보보호 및 보안기술'
▲IT분야의 비빔밥 문화 'SW/HW/IT서비스'
▲인터넷을 통한 인관관계혁명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IT산업의 신성장동력 '위치기반 서비스'를 선정하고, 각 이슈별 적용 우수사례를 소개했다.

정보화전략기획부 백인수 선임연구원은 ““국내 IT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해, 2010년 IT 트렌드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트렌드 및 국가정보화 전략과의 연관성 등을 고려해 올해의 10대 IT 전략 이슈를 선정했다““고 선정배경을 밝혔다.
보고서는 IT 10대 핵심키워드를 통해 2010년 IT환경을 2009년의 극심한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세계적인 경기회복의 기대감이 확산될 것이며, IT분야의 적극적인 시장확대와 인프라 투자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또 이 보고서는 21세기 두 번째 10년을 시작하는 첫해에, 새로운 IT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적극적 투자를 통해 IT 강국, 모바일 강국으로서의 독보적인 위치 선점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 정책에 있어서도, 전자정부로 대변되는 성공적인 e-Government 구축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터넷 기반 정부서비스에서 모바일 기반 M-Government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행정업무, 민원업무 두가지 측면에서 기존 유선인터넷 기반의 e-Government를 대체하는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M-Government 단계별 구축 로드맵 수립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www.nia.or.kr)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끝>

<별첨> 선정된 10대 IT 전략이슈와 주요내용
1. 녹색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원동력 ““Green IT““
정부의 지속적인 녹색성장 추진과 전 세계적인 환경에 대한 관심확대 등으로 Green IT가 지속적으로 이슈화 될 것으로 전망되며, 기업의 비용절감 차원에서 벗어나 사회적 비용 절감과 Green IT를 기반으로 한 신사업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모바일을 통한 사회 대변혁 ““스마트폰““
아이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더불어 보다 다양한 모바일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 모바일 제품에 WiFi 기능이 적용되고, 한동안 침체를 보이던 와이브로에 대한 투자 확산이 기대된다.

3. OS 시장의 새로운 시대정신 ““Open Platform““
컴퓨팅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개발자들의 참여와 공유에 따라 오픈소스를 활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시장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특히, 모바일인터넷 활성화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등장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 분야의 급속한 발전 가능성 예상된다.

4. 모든 IT서비스는 클라우드로 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의 본격적인 서비스가 확산되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클라우드 환경 및 서비스를 실제 업무환경에 적용하는 움직임이 '선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5. 'www'시대에서 'app'시대로 ““모바일웹어플리케이션““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모바일웹어플리케이션(app) 혁명은 인터넷(www) 혁명보다 5배 빠른 속도로 세계 IT 시장에 충격을 던질 것으로 전망된다.

6. 新 경제활성화 방안 ““IT와 전통산업간 융합서비스““
IT 기술의 진화와 더불어 산업간 컨버전스 추세는 신규 시장 확대 차원에서 보다 강화되고 재생산될 전망이다. 산업간 융합 환경에서 IT는 전통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제공하는 원천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7. 지식정보사회구현을 위한 필수요소 ““정보보호 및 보안기술““
2009년 DDoS 사건이후 정보보호 및 보안기술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미래 발생가능한 보안문제를 분석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해 질 전망이다.

8. IT분야의 비빔밥 문화 ““IT와 전통산업간 융합서비스““
IT 기술의 확장 및 컨버전스가 급진전됨에 따라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아우르는 새로운 IT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대가 기대된다.

9. 인터넷을 통한 인간관계 혁명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모바일 SNS 서비스의 성장으로 사회 전반의 새로운 휴먼 네트워크 문화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현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모델들은 마케팅, 전자상거래, 기업홍보, 정치활동 등으로 점차 전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0. IT 산업의 新성장동력 ““위치기반서비스““
모바일 인터넷, GPS 등 관련 제반기술 및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위치기반서비스가 사회 전 분야에 큰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2010-01-30 키삭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 민·관 합동의‘한국CSO협회’출범
- “올해의 IT 10대 이슈 '그린IT, 스마트폰, 오픈플랫폼'“
다음 "올해 IT융합, 미래원천기술, 녹색성장 등 3대 분야 중점지원"